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마을
강원의 문화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오피니언
회사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강원의 마을
영월군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4
2020.12.02 18:21
영월군
[마을] 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6
한ㅇㅇ(76), 마차1리 언제부터 이곳에서 사셨나요? 3살 때 요봉으로 이사와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녔어요. 당시 요봉은 전체가 사택이었어요. 초등학교 때는 광산에서 큰 사고가 나서 이승만대통령이 내려오고 우리가 나가서 태극기를 흔들었던 그때 기억이 나네요. 마차중고등학교 다닐 때는 운동을 많이 했는데 영월, 정선, 평창 3개군 체육
강원아카이브
2020.12.23 12:24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5
중학생이던 16살 소년은 총을 들었다.평창 대화가 고향인 전병태씨는 군 제대 후에 이곳 마차리에서 광부의 삶을 시작했다. 대화중학교 3학년 때 6.25 한국전쟁이 발발해 영주로 피난을 갔다오니 집과 마을은 모두 불타 없어졌다. 결국 어머니와 둘이 어렵게 살다 춘천으로 일을 찾아 갔다. 그때 나이 16살 되던 해였다. 우연한 기회에 일제시절
강원아카이브
2020.12.04 16:17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4
→고향이 어디신가요영월 한반도면 광전리가 고향인데 3살 때 이곳으로 왔어요. 광산 일을 하시던 아버지를 따라 온거지, 마차5리 분덕동에 한국 학생들이 다니던 분덕국민학교가 있었는데 나는 거기 다녔어, 해방 후에 마차초등학교로 이름을 바꿨지. 1952년 한국전쟁 때 영장이 나와서 군에 갔어요. 제주도 제1훈련소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전
강원아카이브
2020.12.02 18:21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3
→ 마차리에 언제 오셨나요영월 주천면이 고향인데 19살에 마차리에 왔어요. 이곳에서 광산일을 하다 입영 영장이 나와 1962년도에 군에 입대했어요. 12사단 52연대 의무중대에서 33개월 14일 만에 제대하고 광업소에서 다시 일을 시작했죠. 그때는 영월광업소 직접부로 들어가기 힘들었어요. 그래서 청부에서 일을 좀 하다가 사업을 시작했죠,
강원아카이브
2020.12.02 18:05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2
마차리는 북면의 면소재지로 동으로 거운리, 문산리와 접하고 서쪽에는 연덕리와 문곡리가 있으며 남으로는 삼옥리, 영흥리와 연결되고 북으로는 공기리와 평창군 미탄면과 맞닿아 있다. 골마차, 절골, 분덕이, 솔치, 요봉, 학전이 등의 자연부락이 있다. 주로 밭농사가 이루어지는 농촌 마을이다.옛날, 광산이 개발되기 전의 마차리는 여섯집
강원아카이브
2020.12.02 17:38
영월군
[마을]영월군 북면 마차리 폐광촌 아카이브01
강원 영월군 북면 마차리는 1935년 영월광업소가 개광한 탄광마을로 6~7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던 지역이었다. 마차리는 대한민국 석탄산업의 상징적인 땅이었다. 한국전쟁이 끝난 후 검은 진주라 불리던 석탄을 캐기 위해 전국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들어 나름의 마을을 만들고 고향을 이루며 살아온 희망의 마을이었다. 그러나 1980년
강원아카이브
2020.12.02 17:26
1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