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마을
강원의 문화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오피니언
회사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만종초등학교 명신분교 1964-1988
만종초등학교 명신분교다름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마을, 대명원에 세워진 학교 1964년 개교한 명신분교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 한센병에 걸린 제대군인들을 중심으로 호저면 만종 3리에 형성된 대명원 정착촌에 세워진 학교이다. 지금은 한센인에 대한 편견이 없어진지 오래되었지만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한센인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과 차
강원아카이브
2021.01.07 19:45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금대초등학교 일론분교 1967-1985
금대리 일론마을_ 일론분교가 있던 치악산 국립공원 금대리 일론(日論)마을은 금대계곡 깊은 곳에 있는 마을로 흘론, 흘른이라고도 한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치악산 영원산성에서 김제갑 장군이 왜병을 크게 무찔렀는데 이 때 수많은 장졸들의 피가 계곡에 흘렀다고 하여 흘론, 흘른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골짜기에 있는 논이라고 해서 실(谷)+
강원아카이브
2020.12.21 11:57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원주지역 만세운동의 시발점 부론면 옛)노림초등학교
1915. 노림의숙 설립1938. 08. 31 부론공립심상학교 부설 노림간이학교 정식 인가 1938. 09. 01 한씨 문중으로부터 현 부지를 기증받아 개교 1945. 09. 15 노림초등학교 승격 1952. 06. 20 노림고등공민학교 임시 개교 1953. 03. 25 노림고등공민학교 폐교 1955. 10. 16 교사 신축 준공 2004. 03. 01 부론초등학교에 통합, 폐교 노림초등학교는
강원아카이브
2020.12.09 16:43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강원도 원주초등학교 1896-2020
원주초등학교는 1896년 9월 17일 원주군 공립소학교(심상과 3년)로 설립되었다. 초대 교장은 원주군수 김영규(金泳圭)가 겸임하였고, 1896년 11월 16일에 이승의(李昇義) 교사가 임명되었다. 강원도 원주군 본부면 후동(지금의 원주시 중평동)에 가교사를 지어 8세부터 15세까지의 학생 58명과 교원 4명으로 출발하였다. 수업 연한 3년에 교과목
강원아카이브
2020.11.25 19:51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현대판 인간 상록수가 일군 ‘하늘 아래 첫 학교’
현대판 인간 상록수가 일군 ‘하늘 아래 첫 학교’ 이명순 선생의 태기분교 태기분교는 청일면 태기리에 있던 봉덕초등학교의 분교로 1968년 화전민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학교이다. 횡성군 태기산으로 이주해 살던 화전민의 마을, 갑천면 태기리는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둔내면에 편입되었다가 1976년 4월 행정공부(行政公
김시동
2020.08.09 14:01
강원의 학교
[원주] 육지속 섬마을에 있던 학교, 원주 지정초등학교 안창분교장
육지속 섬마을에 있던 학교지정면 지정로 572번지 능촌에 있던 안창분교는 1948년 지정초등학교 안창분교 장으로 설립인가를 받은 뒤 1993년 소규모학교 통·폐합 계획에 따라 폐교 되었다. 학교가 존재하는 동안 37회 698명 의 졸업생을 배출했고, 25년 전인 1993년 문을 닫았다. 지금은 문화예술공간인 살구나무예술촌 (대표:박전하)으로 바뀌
김시동
2020.07.10 18:02
강원의 학교
[원주] 호저면 고산초등학교 입암분교장
화전민의 아이들이 꿈을 키우던 추억의 학교호저면 고산리 깊은 산속 곤의골에 위치한 고산초등학교 입암분교장은 1969년 3월 개교하여 1990년 소규모학교 통폐합 계획에 의해 고산초등학교에 통폐합되었다. 곤의골(곤이골)이라는 지명은 ‘곤란을 당했지만 의롭게 사는 사람들’ 이란 뜻을 갖 고 있다. 곤의골은 산이 높고 골이 깊어 천주교 신
김시동
2020.07.10 17:49
강원의 학교
458개, 그 많은 학교의 기억과 기록은 어디에 있을까?
458개, 그 많은 학교의 기억과 기록은 어디에 있을까?김시동 강원아카이브 대표 국내 최초, 폐교역사 아카이브 구축 강원교육복지재단에서는 근·현대를 관통하면서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의 변화과정에서 폐교 된 학교의 역사자료를 수집하는 강원 폐교역사 기록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마을의 최소 단위 교육공동체인 작은 학교의 기억과 기록
김시동
2020.07.10 16:12
강원의 학교
[강원의 학교] 원주여자고등학교 1945-2013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여학교 설립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는 1945년 해방의 감격을 만끽하는 것도 잠시, 시대 상황은 혼돈과 무질서의 세상이었다. 이런 때에 여성 교육에 미래를 책임질 인재 양성에 관심이 쏠린 이중연 선생은 여학교 설립을 추진했다. 나사균, 안덕흠 선생과 손을 잡고 일제 교육기관이던 심상소학교(남산초등학교)를 인수,
김시동
2020.06.26 21:19
1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