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학교
강원의 건축
지역시민학교
강원의 마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양양군
강원의 문화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사진 한 컷
그림 한 컷
오피니언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Archive News
오늘 강원
Archive 기획/특집
강원의 마을
강원의 문화
사진아카이브
Archive Road
기억 한 컷
오피니언
회사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강원의 문화
강원의 문화
강원의 문화 전체
무형문화유산
유형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상징 한국의 소 '한우'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상징 한국의 소 '한우' 우리 민족의 농경문화 풍속에는 특히 소가 많이 등장한다. 농경산업 중심으로 발달되어 온 문화 때문에 농사에 없어서는 안 될 가축이자 가족 같은 존재로 대우하면서 함께 살아왔다. 조상들의 우리 소 ‘한우’에 대한 배려도 특별했다. 통일신라시대인 755년에 작성된 지역 통계연보라 할 수 있
강원아카이브
2021.01.04 12:15
유형문화유산
[춘천] 장군길 걷기 행사
한백록 장군의 무덤과 노비 득충의 무덤 춘천시 서면은 박사마을로 유명하다. 서면 출신 박사가 160여 명이 나왔으니 유명세를 탈만도 하다. 그런데 춘천시 서면은 국난이 있을 때 목숨을 함께한 장군이 한 마을에 몇 명 있어 관심을 끈다. 게다가 그들을 추모하면서 장군길을 만들고 걷기행사를 연다. 먼저,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과 원균
이학주
2020.08.02 17:18
유형문화유산
[양구] 선사박물관 여행
가오작리 선돌 아득히 먼 옛날 양구에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약 5억 4천만 년 전 양구에 살던 동물들은 그들의 족적을 화석으로 남겼습니다. 삼엽충(三葉蟲)이라고 들어 보셨지요. 절지동물 삼엽충류에 속한 화석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너무 멋지지요. 그때 우리 인간은 없었어요. 그러고 보면, 인간의 역사는 참 짧아요. 100년도
이학주
2020.08.02 16:21
유형문화유산
[양구] 비봉산 여행
2020년 7월 10일 오전 10시에 비봉산을 오르기 시작했다. 전국에 비가 내린다는 일기예보가 있었다. “비 오기 전에 비봉산을 답사해야지.” 나는 그렇게 해서 비봉산으로 갔다. 춘천에서 양구로 가는 길은 벌써 한 차례 비가 내렸는지 도로 위는 빗물로 젖어 있었다. 양구군청이 자리잡은 골짜기인 냉천골에 도착했다. 냉천골공원에 차를 세웠
이학주
2020.08.02 16:19
무형문화유산
[원주]원주매지농악,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2 호
원주매지농악은 2006년 1월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었다.농사철에는 두레농악으로, 명절 때는 오락으로 그리고 동제 때는 축원 농악으로 전승되어 내려온 매지 회촌마을의 농악이다. 농악대는 태평소와 꽹과리, 징, 장구, 북, 상모, 법고, 무동, 잡색, 깃발 등으로 편성된다. 상모놀이와 법고놀이, 무동놀이, 12발 상모돌리기가 이
이혜순
2020.07.19 11:10
유형문화유산
[동해] 과거로 떠나는 겹겹의 시간여행
70년이 지난 지금도 그 시절의 모습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는 동해시 숫골길86 동부사택으로 방향을 잡았다. 큰 마음 먹지 않으면 찾아오기 쉽지 않은 곳, 네비게이션에서도 정확한 장소를 알려주지 않는? 산업화 시대의 기억이 남겨져 있는 장소이다. 외부와 단절되어 있는 낯선 풍경을 마주하는 순간, 마치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떠나는 것 같
김시동
2020.07.18 16:42
무형문화유산
[홍천]무후제 답사기
홍천군 동면 월운리 무후제 답사기 채록일: 2006년 12월 15일 채록내용: 필자는 동면 월운리에서 무후제를 지낸다는 제보를 접하고, 아침에 일찍 춘천에서 출발하여 홍천군 동면 월운리에 도착했다. 이장 댁을 찾아서 커피를 한잔 마시면서 월운리 무후제와 관련한 이야기를 들었다. 오전 10시경에 지낸다고 하여 일찍 찾아 제수 마련하는 과정
이학주
2020.07.18 14:37
강원의 문화
[삼척] 척주가 번역 발간
19세기 삼척의 어느 부사가 가사로 삼척을 여행하면서 읊은 가사집이 번역 출간 돼 화제다. 노래 제목은 삼척의 옛 지명을 넣은 이다. 발간은 삼척시 문화공보실에서 했고, 번역은 이학주 한국문화스토리텔링연구원 원장이 했다. 관련 내용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는 삼척을 노래한 가사(歌辭)이다. 가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고유의 노
이학주
2020.07.13 17:03
유형문화유산
치악산 성황림, 춘계성황제
신들의 숨소리가 들린다, 치악산 성황신이 모셔진 곳, 神林에 들어가다.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된 성황림이라는 이 숲은 신이 산다고 하는 곳으로, 마을 이름도 신림이라 부르고 있다. 성남리 주민들은 치악산의 성황신을 마을 수호신으로 믿어 지난 100여 년 동안 매년 음력 4월 8일과 9월 9일에 마을의 평화와 풍년농사를
김시동
2020.07.10 16:43
무형문화유산
[태백] 태백산 천제
10월 3일 개천절 오시(午時), 하늘이 열리는 시간,하늘의 신, 천신 (천신은 하늘 자체를 신격화하거나 하늘에 있는 초인적인 신격을 믿음으로써 생겨난 개념) 이 백두대간 길을 타고 민족의 영산 "태백산"에 내려앉는다. 인간세상과 하늘이 만나는 날, 천제단에서는 천신에게 천주를 바치며 하늘의 신을 맞이한다. 세상의 가장 나약한 인간은 1
김시동
2020.07.10 16:30
무형문화유산
기억해야 할 강원의 무형문화유산06 _ 강릉 학산오독떼기
농사일을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 - 학산 오독떼기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어 있는 농요로서 구정면 학산리 마을에서 현재까지도 불려지고 있다. 언제부터 불렀는지 확실한 연대는 알수 없으나 문헌에 의하면 신라시대때부터 즐겨 부르던 농요로서 마을마다 즐겨 불렀다고 전해온다. 오독떼기는 농사의 전 과정을 순서별로 부른다.
김시동
2020.06.26 17:00
무형문화유산
기억해야 할 강원의 무형문화유산05_ 횡성회다지소리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4호 지정 지정일자 1984. 12. 30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정금리 정금문화마을 에헤라 달회 광중안에 육지원님들 이내말씀 들어보소 광중안에 육지원이요 광중밖엔 나혼자인데 먼데손님 듣기좋게 가차운손님 보기좋게 창포밭에 금잉어놀듯 금실금실 놀어보세 ……(이하 생략) 망자를 애도하고, 남겨진 자를 위로했던 하늘
김시동
2020.06.26 15:55
1
내용
내용